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쓰지도 않은 기프트카드 잔액이 ‘0’

#. 직장에서 연말을 맞아 기프트카드를 받은 김 모씨는 잔액을 확인해보고 깜짝 놀랐다. 사용 가능한 잔액이 0달러로 찍혀 있었기 때문이다. 단순 오류가 아닐까 생각도 했지만, 잔액 세부내역엔 뉴욕 곳곳에 위치한 주유소, 상점 등에서 쓴 흔적이 빼곡했다.   #. 2년 전 일하던 식당에서 기프트카드를 받은 한 남성은 최근 집을 정리하다 기프트카드를 발견했다. 유효기간이 10년이라 지금부터라도 사용하려 했지만 이미 잔액은 해킹으로 털린 뒤였다. 급하게 카드사에 신고하니 상담사는 “구입한 사람의 이름과 신분증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는 “시간이 오래 지난 데다 선물을 해 준 분에게 잔액이 없다고 연락하기도 민망해 포기했다”고 전했다.   연말연시에 기프트카드를 선물이 빈번한 가운데, 충전된 잔액을 빼돌리는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드럭스토어나 마트에서 판매되는 기프트카드가 쉽게 해킹됐지만, 최근엔 기업이나 개인이 대량으로 카드사에서 구매한 선불카드도 해킹된 채 발견되는 경우가 잦다. 연방거래위원회(FTC)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에서 기프트카드 사기로 인한 피해는 4만8800건 발생했고 그 피해액은 2억2800만 달러가 넘는다. 전국은퇴자협회(AARP) 조사에 따르면 성인 소비자 중 26%는 잔액이 없는 기프트카드를 선물했거나 받은 경험이 있었다.     문제는, 카드사에선 이렇다 할 해결책이나 확실한 대응 방법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한 한인 업체에선 몇 년째 수십장의 기프트카드 해킹이 발견되고 있지만, 그때마다 카드사에 연락해 하나씩 처리하고 있다. 담당자는 “매년 20~30장씩 잔액이 없거나 줄어든 카드가 발견됐고, 전체 구매량 중 절반은 해킹됐다”고 전했다. 해킹된 카드를 신고하더라도, 카드사의 리뷰 절차를 거쳐 새 카드를 보내주기까진 6개월이나 걸린다. 새롭게 보내 준 선불카드조차 해킹된 경우도 있었다.     주먹구구식 카드사의 대응에 소비자들도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레딧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소비자들이 기프트카드 해킹 사고를 신고하면 상담사에 따라 처리 방식이 다르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한 기프트카드 사기 피해자는 “아멕스카드 측에 전화를 걸었으나 처음 전화를 받은 상담사는 직접 구매한 정보가 있어야 환불이 가능하다고 했는데, 다시 전화를 거니 다른 상담사는 그냥 다시 카드 잔액을 채워주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기프트카드 잔액 사기를 발견하면 즉시 카드 뒷면에 있는 고객서비스 번호로 연락하고, 환불이나 재충전을 거부하면 FTC 신고 센터(ReportFraud.ftc.gov)로 연락할 것을 권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기프트카드 잔액 기프트카드 잔액 기프트카드 해킹 기프트카드 사기

2025-01-06

'바코드 바꿔치기' 기프트카드 신종사기 기승

연말연시 쇼핑시즌에 기프트카드 사기가 기승을 부려 경찰 당국이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최근에는 바코드를 바꿔치기해 충전된 돈을 탈취하는 신종 수법까지 나타났다.     북가주 새크라멘토카운티셰리프국(SAC셰리프)은 ‘베드 엘프 작전(Operation Bad Elf)’ 으로 명명된 단속을 시행하면서 주 전역에서 수천개의 위조된 기프트카드를 적발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당국에 따르면 최근에는 진열대에 놓인 기프트카드에 가짜 바코드를 부착하고 카드에 든 돈을 가로채 가는 수법까지 등장했다.     비영리 소비자보호단체 ‘기업개선협회(Better Business Bureau·BBB)’의 다니엘 스티너는 “고객이 계산할 때 캐시어가 카드의 바코드를 통해 고객이 말한 금액을 충전시켜주는데, 돈은 고객이 들고 있는 카드가 아니라 사실상 범죄자들에게 가는 것”이라며 “고객이 카드를 사용하는 순간 돈은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SAC셰리프국은 최근 주 전역 12개 카운티, 54개의 소매점에서 조직적인 사기 범죄조직에 의해 위조된 5739개의 기프트카드를 발견하고 회수했다.     데이비드 데루엔 셰리프국 수사관은 “통상 기프트카드는 최소 5달러에서 500달러까지 충전된다”며 “만약 최대치로 충전했다고 가정했을 때 우리가 회수한 카드로 286만 달러의 손실액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BBB는 만약에 소매점에서 발견한 기프트카드에 의문이 든다면 다른 것으로 고르라고 조언했다.     더불어 ▶기프트 카드 구매 시 위조의 흔적이 없는지 꼼꼼히 살피고 ▶구매할 때 받은 영수증을 보관하라고 조언했다.     한편, BBB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연방거래위원회(FTC) 소비자 감시반을 인용, 지난 2020년부터 올해 9월까지 기프트카드 관련 사기 범죄는 총 17만7074건으로 집계됐으며, 이로 인한 누적 손실액은 6억9000만 달러라고 밝혔다.     BBB가 자체적으로 추적한 기프트카드 관련 사기 범죄는 같은 기간 3918건으로 집계됐는데, 그 중 ‘온라인 구매’로 인한 피해가 1346건(34%)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 선수금 대출(Advance Fee Loan)이 334건, 피싱 사기 330건, 정부 그랜트 326건, 경품/복권 당첨 251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장수아 기자 [email protected]기프트카드 신종사기 기프트카드 사기 기프트카드 관련 가짜 바코드

2023-12-08

사용 안한 기프트카드 잔액이 '0달러'

연말연시를 앞두고 지인, 친구, 가족들을 위한 기프트카드 선물이 늘고 있는 가운데 도용 문제가 심각해 주의가 필요하다.     21일 채널4 NBC LA 뉴스에 따르면 리처드 젤린카는 샌디에이고에 사는 여동생에게 종종 바닐라 비자(Vanilla Visa) 기프트카드를 선물해 왔다. 이번에도 연말을 맞아 900달러가 든 기프트카드를 선물한 젤린카는 동생에게서 이미 카드의 잔액이 0달러라는 연락을 받고 황당했던 사연을 전했다.     이에 대해 개인금융 정보사이트 ‘월렛 허브’ 분석가들은 사기범들이 기프트카드 포장을 뜯고 카드 넘버와 핀 정보를 알아낸 뒤 다시 포장해 놓는 수법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이후 정보가 노출된 기프트카드가 누군가에게 팔려 활성화되면 사기범들이 카드 정보를 확인하는 사이트에 들어가 돈을 갈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기를 당한 기프트카드에 대해 보상을 받거나 불만 신고를 하기도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가 질 곤살레스는 “기프트카드에 대해서는 신용 카드나 직불 카드와 같은 규정이 없다”며 “그렇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사기에 대해선 정의를 내리기 힘들다”고 말했다.     젤린카에게 기프트카드를 판매한 CVS는 “해당 문제를 바닐라 비자 카드사 측에 전달했다”며 “이런 사기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드리고 있으며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계속 투자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피해를 본 젤린카에게는 900달러가 든 새로운 기프트카드를 전달했다고 전했다.     한편, 매체는 기프트카드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사기범들이 카드를 조작하기 쉬운 큰 키오스크는 피하고 ▶계산대에서 직접 구매하거나 열쇠로 잠긴 진열대에서 꺼내는 기프트카드를 구매하거나 ▶이메일을 통해 온라인으로 보내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추천했다.   장수아 기자기프트카드 사용 기프트카드 잔액 기프트카드 사기 기프트카드 포장

2022-12-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